top of page

집중력 향상을 위한 오디토리움의 설계 무엇이 중요한가?

  • 정재선
  • 2017년 1월 17일
  • 3분 분량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강당(오디토리움)은 1대 다수의 강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고 정의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강연에서 중요한 요소는 먼저 강연자의 내용이 잘 전달되는지 여부에 대한 음성전달지수(STI), 자음손실률(ALCONS) 등 잔향시간의 함수에 관련된 지수들일 수 있고, 또한 우리가 대화를 나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eye contact을 잘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눈과 눈이 마주하는 것은 상대방의 표정이나 동작을 통해서 내용의 의도와 맥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강연자의 얼굴과 청자가 마주할 경우 전달력은 극대화되기 마련이다. 강연의 경우 짧은 경우 5분 내지 15분 긴 강연의 경우 3시간 이상의 강연이 지속될 경우 앞서 언급한 원칙들이 지켜지는 않는 경우 집중력은 현저히 감쇠되어서 강연의 내용과 상관없이 전달력이 떨어지거나 공연장의 분위기는 산만하여질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그림 1. 인간의 눈에서의 빛의 수렴과 인간의 고막에서의 음압 [G.C. lzenour Archive]


그림 1은 사람이 고막과 눈이 거의 동일한 수평선에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인데, 이는 사람은 구조적으로 시각적 사이트라인과 소리를 동시에 인식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그림이다. 이는 시양의 방향과 소리의 방향과 중심점이 상이할 경우 심리적으로 집중력을 유지하기가 힘든 구조임을 우리는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최소 30분에서 최대 3시간까지 이루어지는 대중문화집회시설에서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공연장의 무대와 객석의 형태가 어떠해야 하는지 기본적인 원칙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그림 2에서 보는 것처럼, 무대를 중심으로 오디토리움의 객석이 배치가 이루어지는 여러가지 형태를 볼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무대의 화자의 위치와 객석의 배치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다양한 형태의 객석 Layout


객석의 편의성이라는 말은 일반적인 안락함을 말하는 개념을 넘어 무대를 바라보는 사이트 라인, 착석 편안함, 그리고 순환의 용이함 (그리고 안전성)을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으로 관객이 공연을 경험하는 방식과 시설 전체에 대한 인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림 3. 빈야드 타입의 공연장 3D view


그래서 그림 3처럼 무대를 중심으로 객석을 배치하여 객석에서 무대전체가 잘 보일 수 있도록 객석의 서큘레이션을 디자인 하는 것이다.

그림 4. 커뮤니케이션의 경로를 지원하기 위한 형태


그러면 여기서 이런 오디토리움의 객석 레이아웃을 디자인을 하는 과정을 잠시 간단하게 점검해 보면, 우리는 공간의 사용 목적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 그림 4은 3가지 Venue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들은 무엇보다도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고안된 장소로 전형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 중에 하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인데, 자료를 활용한 프리젠테이션을 활용하는 공간의 무대와 객석의 레이아웃, 객석의 반응을 유도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공간과 무대의 레이아웃, 무대와 객석과의 상관관계 뿐만 아니라 객석간의 상관관계까지 고려해야하는 콘서트홀의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라서 객석의 형태가 정해지는 것을 우리는 유념해야할 것이다.

그림 5. Auditoria 라이브 공연에서 발생하는 4 가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의 형태


그림 4와 5의 다양한 고려를 바탕으로 해서 우리는 무대의 넓이와 객석의 수와 구조적인 것을 고려한 기본적인 컨셉을 그림 6처럼 잡아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림 6. 룸의 기본 컨셉

그림 7. 무대와 객석과 구조를 바탕으로한 몇가지 레이아웃


이런 기본적인 컨셉을 바탕으로 우리는 무대의 사이즈와 객석을 수를 고려한 몇가지 다양한 레이아웃을 이끌어내게 된다. 이후에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평면상에서 구체적인 수치를 표현되는 도면으로 정리해서 객석의 존(zone)별 객석 수뿐만 아니라 위급상황시의 순환성등을 점검하게 된다.

그림 8. 옵션별 도면화 작업


이런 평면 프로그램을 완성된 후에 공간에서 적용될 프로그램을 적용해보고, 필요하다면 스피커(Loudspeaker)등을 배치해보면서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최적을 공간을 선택하게 된다.

그림 9.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공간


이런 과정을 통해서 최적을 오디토리움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이를 그림 9에서 처럼 3차원 공간에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시각적 안정성과 소리의 방향성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이처럼 집중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을 통해서 시각적, 청각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 장시간의 상황에서 집중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게 오디토리움 디자인은 Venue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집중력을 향상을 위한 오디토리움의 설계는 무대를 중심으로 전달되는 음원들의 방향성과 그 소리들에 대한 시야들의 안정된 확보가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음호에는 객석의 형태와 스피커 배치의 원칙들을 점검해보고 객석에서 음상이미지(Sonic image)을 확보하는 방안과 사례들을 통해서 최적의 스피커 배치 방법들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s


추천 게시물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 2017 by TNSD Co., Ltd

  • Facebook Social Icon
  • Twitter Social Icon
  • Google+ Social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