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툴들과 음향 툴을 활용한 건축과 음향의 협업에 대한 고민
- 정재선
- 2016년 2월 11일
- 9분 분량
저번 2달 동안 콘서트 디자인을 위한 몇 가지 방법론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다. 콘서트 홀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음향 컨설턴트가 중심이 되어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다목적 극장의 경우 극장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일을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의 진행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건축가들의 협업 없이 어떻게 건축 설계가 이루어 질 수 있겠는가? 오히려 건축가들이 중심으로 설계 프로세스가 진행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건축설계 플렛폼과의 협업을 위한 음향 설계 툴들과의 관계를 점검해보고 효율적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최근 3D 컴퓨팅과 데이터 베이스의 발전과 더불어 건물 모델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공유함으로써,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비용을 최소화하는 설계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했다. 몇몇의 BIM 소프트웨어는 음향 분석을 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건물 안에 MEP 시스템의 소음 레벨을 보여주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EASE, CATT나 Odeon과 같은 좀 정교한 음향 분석 프로그램들은 A/V 시스템, 재료 데이터 베이스, 가청화, 데이터 그래프와 함께 공간의 음질을 결정하기 위한 유용한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는 음향 정보가 강화된 특화된 BIM이 어떻게 건축가와 음향 전문가들 양쪽에 이익을 줄 수 있는지, 그들에게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을 이끌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한다. 공연예술 전문 공연장을 위한 설계 프로세스는 BIM시스템과 음향분석 프로그램 사이에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Revit Architecture와 Odeon프로그램은 프로젝트를 위한 설계와 분석 툴로 사용되었다. 모델은 통합된 전달 프로세스에 지식을 공유하고 BIM에 내포되어 있는 음향 정보의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었다.
BIM 소프트웨어는 다른 분야로부터 가져온 분석 데이터의 통합을 지원하는 플렛폼을 제공한다. 건축가, 엔지니어, 그리고 그리고 많은 계약자들이 Revit Products, AchiCAD, Bentley Applications, Vectorworks, Navisworks, 등과 같은 BIM Software를 사용하여 건물 설계 과정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음향 컨설턴트들은 정교한 음향 소프트웨어: CATT-Acoustic, Odeon, EASE로부터 음향 정보와 함께 프로젝트에 맞춰진 BIM 시스템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주제는 어떻게 음향 엔지니어가 음향 분석 정보와 함께 BIM 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목표는 건축 설계와 음향 분석 간의 상호간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협업은 건축가와 음향 전문가 사이의 일정을 조율하거나 일의 생산성을 극대화해 줄 것이다. 공연예술 전문 공연장의 설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BIM 모델과 음향 모델과 데이터 베이스 간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다른 소프트웨어로부터 얻은 음향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Revit Architecture는 중앙 집중화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오디토리움을 만들기 위한 BIM 소프트웨어로 선택되었다. Ecotect은 초기 단계 설계 과정에서 오디토리움에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것은 Revit과 상호 높은 정보교환이 가능한 음향 분석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이다. Ecotect으로부터 얻은 데어터는 다른 분석 소프트웨어 툴들과의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Odeon로부터 얻은 데이터와 비교될 것이다. Revit MEP 음향 분석 툴은 공조 시스템(HAVC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BIM의 장점
BIM은 일의 생산성을 강화한다.
BIM은 프로젝트의 전달을 가속화 한다.
BIM은 프로젝트 팀들간의 협업과 조화에 도움을 준다.
BIM은 프로젝트 모델에서 중앙 집중화된 정보를 창조한다.
BIM은 비용과 일정을 최적화한다.
BIM은 건물을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BIM은 수익성과 경쟁력을 증가시킨다.
BIM 소프트웨어는 단일 데이터 저장소에 프로젝트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3차원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모든 정보의 중앙 집중화는 문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문서관리, 시각화, 건물 성능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호보완적인 일들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팀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설계 모델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건축가들과 음향인들 사이의 협업을 촉진할 것이다. 협업은 설계과정의 초기에 설계 문제들을 해결하고, 현장의 빠른 의사결정을 만들어가는데 프로젝트 참여업체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초기의 종합적인 공동작업은 프로젝트 생애주기를 통틀어서 좀더 정보화된 의사결정을 촉진시킬 것이다.

그림 1. 건물 설계 과정 동안 내내 영향의 기회와 변화 비용.
변화를 주기 가장 효과적인 시간은 건축 설계 과정의 프로그래밍 단계 동안이다. 이 프로젝트 단계는 이해관계자들에게 프로젝트 이익에 영향을 주기 위한 최적의 시간이다.
건축설계과정은 프로그래밍, 기본설계, 설계 개발, 시공 도면의 4가지 단계를 가지고 있다. 전체 설계 가이드(WBDG: Whole Building Design Guide)에 따라서, 변화하기에 가장 최적의 비용 단계는 프로그래밍 단계이다. 통합적 프로젝트 진행(IPD : Integrated Project Delivery)은 프로젝트상 초기 협업을 강조하게 하고 모든 영역들이 함께 혁신적인 새로운 계약관계를 제안하게 하는 프로젝트 진행 전략 중에 하나이다. BIM 중심적인 정보는 이런 전략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한 방법이다. 초기 협업을 통한 지식기반의 디자인 결정은 좀더 효과적이고 비용을 줄여줌으로 경제적이고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 가능하게 할 것이다. 건축가들, 음향 컨설턴트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디자인 과정을 통해서 가깝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그들은 최고의 성능을 위해서, 모든 건물 시스템이 상호 의존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COUSTICAL ANALYSIS OF SOFTWARE COMPARISON

그림 2. 설계 도구들과 음향 분석 툴들의 상호운용의 가능성.
상호작용은 다른 설계와 분석 툴들 사이의 모델들을 전달하는 동안 정보 레벨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

그림 3. 설계 도구들과 Odeon Acoustic Analysis tool의 상호 운용 가능성.
음향 컨설턴트들은 필드에 특화된 음향 분석 툴을 사용한다. 다양한 분석 툴 사이에, odeon소프트웨어는 이번에 음향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비록 이것이 음향 컨설턴트들을 위한 정밀한 음향분석을 제공하고 있지만, Odeon이 Revit 제품군들과 상호작용하지는 않는다. Odeon에서의 초기의 설계 모델링 방법들은 그들의 음향적인 분석을 위해서 분리된 파일에서 또 다른 프로젝트 모델을 리빌딩할 것을 음향 전문가에게 요구한다. Odeon에서의 모델링 툴은 같은 프로젝트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Revit 설계 툴에 비해서 좀더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CATT나 EASE는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그런데, 이런 일의 흐름은 피드백을 반영하여 새로운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유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행할 수 있는 분석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음향 전문가와 건축가들이 분리된 파일에서 그들의 모델들을 관리함으로써 소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다. 이런 논의는 단순한 데이터 베이스의 문제가 아니라, 모델링 방식에 따른 분석 Mesh에 따른 Geometry의 구성 방식의 차이 등 좀 근본적인 차이일 수 있다. 실질적인 공연장의 모델이 일반 학교 강당 정도로 간단한 구성이나 면들의 선형적 구성으로 가능한 공간이 아님으로 실직적으로 건물 모델링 전 단계에서 형상 검토에 대한 고민은 별도의 해석 프로그램을 요구할 때가 많이 있어서 건축가들의 모델과 음향 전문가들 사이의 모델을 통합하거나 공유하는 문제는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Revit Architecture는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설계 도구를 지원하고, 다른 유저들과 함께 프로젝트 모델을 공유한다. 그러나, 이것은 건물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는 부족하다. 이런 정보를 보충하기 위해서, 이것은 제 3의 분석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Ecotect은 음향전문가들의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음향적 분석 툴로 고려해야만 하는 건축물 에너지 분석 소프트웨어이다. 이것은 건축물의 열적 분석, 채광분석, 음향분석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또한 Green Building XML(gbXML) language를 활용해 Revit 제품군들과 높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gbXML 화일은 Revit에서 Ecotect으로 모델의 기하학적 정보와 재료의 성질을 전달하고, 이런 것은 건축물 성능 계산에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림 4. Autodesk의 제품 군의 gbXML을 활용한 에너지 분석 방법
Ecotect에서의 음향분석은 공간에서 잔향시간(RT), 감쇠시간, Ray tracings을 제공한다. 비록 Ecotect이 복잡한 음향 정보의 전 영역의 정보를 얻는 데는 제한적이지만, 이것은 빠른 피드백이 요구되는, 설계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건축가들과 소통할 때 빠른 전달 결과물 들을 만들 때에 유용하다. Ecotect은 건축물 에너지 성능의 효율을 표현함에 있어서 LEED 지속가능성 데이터에 힘을 실어주는 데에 유용하다.
이런 사례를 통해서, 다른 음향분석 툴을 통해서 얻어진 분석 결과들은 Revit Architecture안에서 프로젝트 모델과 함께 통합된다. 각각의 음향 분석 툴의 장단점은 설계 과정에서 건축가와 음향 전문가가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의 좋은 소리를 품질을 성취하기 위해 이용되게 된다.
ONE CENTRAL INFORMATION PLATFORM
Central Material Database
Revit Architecture, Ecotect, 그리고 Odeon, CATT, EASE는 다른 재료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비슷한 재료들은 다른 음향 성질을 다르게 가지고 있다. 재료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함으로 음향 분석을 위한 일정한 재료 성질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같은 주어진 상황하에 프로젝트 분석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만약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중앙 집중화된 재료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면 아주 편리하고 데이터 신뢰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그림 5. Revit Database links to EASE Material Database.
Material properties in EASE model updated the external material database,
which connected to the model in Revit Architecture.
이런 데이터베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재료 데이터베이스 링크가 데이터 베이스 ACESS로 Revit에 프로젝트 모델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Revit Architecture에 프로젝트 모델로 사용된 재료는 중앙 집중 재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분석 소프트웨어와 동기화되어야 한다. 이들 재료 라이브러리는 성질을 변경하거나, 기존 성질을 삭제하고, 새로운 재료를 추가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Revit Architecture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는 재료 스케줄에 원하는 대로 만들어진 정보로 로드되고 다른 유저들과 함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Facility Management
정보가 Revit Architecture에서 하나의 중앙 집중화된 정보로 접근할 수 있다면 건축가와 음향 전문가가 음향 설비의 관리를 수행하기가 편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정보가 재료의 생애주기에 대한 스케줄 관리와 정보들의 재배치가 가능하다면, 음향 컨설턴트들은 그들의 책임하에 좀더 나은 설비를 관리할 수 있고 유저들에게 회사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CASE STUDY – MUSICAL THEATER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하나의 예로 뮤지컬 극장을 사용하여 몇몇 과정을 들여다 보고 모델들 사이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고민하여 보기로 하자. 여기에 사용된 모델들은 완벽한 완전체 모델이 아니라 전체 프로젝트 모델의 하나의 부분이다. 이것은 필자가 2005년에서 2006년 동안 진행하였던 프로젝트를 재 점검하기 위해서 BIM으로 재 모델링 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당시 설계가 3D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았고 업무 자체가 2D기반의 설계를 통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비교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다만 당시 외국의 극장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일이 진행되었고 건축가와 많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프로젝트이었고 나름 관리가 되어진 프로젝트 임으로 설계자료를 바탕으로 BIM 모델을 만들고 당시 모델을 바탕으로 Ecotect를 활용한 Ray tracing, Odeon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들을 한번 점검하고자 한다.
S-뮤지컬 전용극장으로 이름 지어진 S-공연장은 1200석 규모의 좌석을 가지는 뮤지컬 전용 공연장을로 설계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저자는 당시 건축가와 음향 담당자들과 클라이언트에 사이에 얼마나 효율적인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는지 또한 얼마나 지식의 간극 차이가 있었는지를 점검할 수 있었다. 저는 또한 하나의 BIM 파일에 다른 분야의 도면으로 모든 정보를 조합하고 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하여 건물을 정보화 하여 모델링 하였다.

그림 6. Musical Theater interior View.
이 극장은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 안에서 설계 과정을 통해서 모든 정보가 통합되었다.

그림 7. 공연장 컨설팅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4]
Phase 1 - Programming
Early Acoustical Consultation
이번 사례는, 기존의 평면 플랫폼을 그대로 가져와 체적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서 미리 최적의 값이 결정된 상태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이지만, 모든 프로젝트는 음향 전문가들에 의해서 초기 음향 계산 값들을 활용해 오디토리움의 체적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그 크기의 가이드 라인은 오디토리움의 적정한 잔향시간을 보장하고 프로젝트 팀에게 오디토리움 설계의 다른 형태를 조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설계 프로세스의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음향에 대한 지식은 프로젝트 팀에게 다양한 아이디어들 사이에 최적의 솔류션을 선택할 때 자신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Revit with Ecotect Analysis
Ecotect은 이번 조사를 위해 초기 음향 분석 툴로 사용되었다. 오디토리움의 체적과 좌석의 수의 값은 오디토리움에 좋은 잔향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Ecotect model에서 요구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Ray tracing animation은 프로젝트 팀에게 오디토리움에서 소리의 초점현상이 발생하는 점들을 발견하거나 소리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Ecotect을 사용함으로 단순하지만 파워풀한 시각적 데모는 음향적인 고려사항들을 만족시킴으로써 설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커뮤티케이션을 도와준다.

그림 8. Ecotect을 활용한 Ray tracing.
Phase 2 - Schematic Design
Odeon Analysis with Revit Model
기본 설계 단계에서, 프로젝트 팀은 재료 선정과 전체 설계 결정요소들을 배열하게 된다. 이것은 오디토리움 인테리어 설계를 위한 디테일한 음향 설계 분석을 요구한다. Revit Architecture에 오디토리움 모델은 odeon소프트웨어를 위해서 DWG 파일로 내보내게 된다. 내보내어진 DWG 화일은 단지Geometric 정보만 가지고 있고, 그래서 화일을 importing하고 난 뒤에 음향적 재료를 지정한다. 이렇게 BIM 모델에서 바로 DWG파일로 내보내 작업을 할 수도 있고, DWG파일을 그림3에서처럼 Sketchup에서 importing하여 SU2Odeon 루비를 활용하여 Odeon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재료정보는 Revit Architecture에 오디토리움 모델에 연결된, 외부 재료 데이터 베이스에서 업데이트된 Odeon에서 결정되게 되고 이 정보는 또한 모델에 재료의 성질과 재료 스케줄을 수정하게 된다.


그림 9. Odeon Model에서 오디토리움 재료들.
재료들은 오디토리움에서 잔향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오디토리움에서 각각의 건축 요소에 적용되었다.
Revit MEP and HVAC Noise Level
Revit MEP는 오디토리움을 지나가는 HVAC 시스템을 구동하는 레이아웃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Revit MEP에 HVAC Model은 Revit Architecture에 오디토리움 모델에 연결되어있다. Revit MEP에 음향 분석 플러그-인은 HVAC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평가했다. 소음레벨은 오디토리움 장소에 HVAC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줄이고 차음 설계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Revit 제품군은 모든 HVAC 설비 스케줄과 Revit Architecture에 정보에 연결된 Revit MEP에 음향 절연 재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Revit 제품군들에 자동 스케줄링은 설계 과정 중에 변화를 쉽게 만든다.

그림 10. 추출된 입체적 뷰와 오디토리움 벽체 섹션.
Revit MEP에 HVAC 시스템은 Revit Architecture에 오디토리움 모델과 함께 조합되어졌다.
Phase 3 - Design Development
Auralization and Noise Reduction in Odeon
실시설계 단계에서, 프로젝트 팀은 중요한 설계 결정들에 동의 한다. Odeon으로부터 얻은 디테일한 음향정보는 발전된 오디토리움 모델이 강화된다. The information about the binaural impulse response, the noise isolation, and the auralization added to the model.

그림 11. Odeon모델에서의 잔향시간과 임펄스 응답
Ecotect에서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분석
Revit Architecture에 모델은 Ecotect과 상호정보교환이 가능하다. 설계 피드백에 대한 반영을 위한 신속한 반응은 스마트한 설계 결정을 만들기 위한 좀더 나은 음향분석을 위해서 시간이 증가한다. 비록 거기엔 Ecotect에 음향분석의 한계가 있지만, 그것은 음향적으로 특별한 분석 소프트웨어를 위한 프로젝트 모델을 리빌딩하기 위한 소모적인 시간 없이 유용한 분석 결과를 만들기에 적합하다.
Ecotect은 Green Building XML(gbXML) 화일을 이용함으로써 Revit Architecture로부터 건물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gbXML은 건물 분석 툴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Revit 제품군과 같은 BIM 권한을 부여하는 소프트웨어를 허락하는 “언어”나 개요이다. gbXML 화일은 열적, 물리적, 음향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물 에너지 분석을 위한 정보 유형이다. 다만 이런 업무적 프로세스는 단순한 모델을 요하는 초기 컨셉 단계에서는 충분히 가능할지 모르지만 좀더 세분화된 모델과 복잡한 모델로 진화할 경우는 오히려 dbXML 파일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렌더링을 위한 3d Max
Revit Architecture에 프로젝트 모델은 3ds Max와 같은 컴퓨터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위한 재료 표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FBX화일 연결되어 있다. 이 설계 프로세스 동안, 모델에 수정된 정보는 FBX 화일과 연결된 기하학적이고 재료 정보를 변경한다. FBX화일은 3ds Max에 렌더링 결과를 변경한다. 프로젝트 팀은 3ds Max에서 모델을 렌더링함으로 오디토리움의 실질적인 디자인 표현을 자주 체크한다. 그런데, 프로젝트 팀은 오디토리움의 재료의 컬러와 텍스춰의 변경에 따라 오디토리움을 위해 기능적으로나 미적으로 좋은 결정을 할 수 있고, 일정한 디자인 소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비슷하게 음향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Phase 4 - Construction Document
후반기-렌더링 프로세스
발전단계에서 미적 고려들을 반영한 후에 최종 렌더된 이미지는 Post-rendering 툴(Photoshop과Illustrator)들을 사용함으로 더욱더 세련되어진다. 하나의 잘 렌더링된 이미지는 이 오디토리움을 위한 프로젝트 팀의 디자인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천마디 단어만큼 가치 있다.
One Central File & Detailed Construction Document
Revit Architecture에 하나의 중앙 집중화된 화일은 설계 프로세스를 통해서 모든 정보가 통합된다. 프로젝트 팀은 다른 전문가들로부터 흩어져 있던 정보를 모으기 위한 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프로젝트 팀은 또한 쉽게 건설을 위한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 the site plan, sections, detailed callouts, perspective interior or exterior views, rendered images, structural or material schedules, facility management schedules, and so on.
CONCLUSION
BIM은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툴을 지속적으로 발전 성장시키고 있다. 이 글은 건축가와 음향 전문가들이 그들의 툴들을 활용하여 협업을 이룰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서 한가지 방법론을 제안했다. 나는 음향적인 분석 툴을 위한 반복적인 모델링 프로세스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나 협업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범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길 원했다. 음향 성능 분석의 상호작업의 정도면에서, Ecotect은 유용한 분석 결과를 생산하기 위한 음향분석 소프트웨어로 소개하였다.
BIM 시스템에서 중앙집중 정보 플랫폼은 프로젝트 팀이 전문가들과 협업하고 지식을 공유하게 해 주리라 판단된다. 건축 설계 프로세스에서 초기 협업은 좀더 나은 건물 성능을 만들기 위한 지식 기반의 설계 결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프로젝트 모델에서 중앙 집중화된 정보는 설계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서 지속적인 설계 의도와 설계 업데이트를 반영하기 위해 좀더 유연하게 작용하였다. BIM 시스템에서 통합된 정보는 프로젝트 팀의 디자인 효율, 생산성, 사례 연구에서 정보의 퀄리티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음향분석 툴과 함께한 BIM시스템의 상호 작용성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들이 더해진다면 업무향상에 크게 고려할 것으로 생각된다. 좀더 많은 고민들을 통해서 다양하고 진화된 음향 설계 가이드 라인이 제시됨으로 오디토리움의 설계의 의사결정에 좋은 영향을 미치길 바란다. 이런 향상된 협업 방법론들이 공연장 설계에 적용되어 프로젝트 팀들에게 일반화 될 때, 높은 음향 성능 결과물이 만들어 질 것이다.

그림 12. Autodesk와 Comsol Multiphysics와 연동을 통한 음향 해석.
스피커에 의한 룸에서의 음압레벨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Geometry는 Autodesk Revit를 통해 만들고 Revit을 위한 LiveLink를 활용한 동기화.
REFERENCES
1. Autodesk Inc. (2011). “Realizing the Benefits of BIM,” Autodesk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ttp://images.autodesk.com/adsk/files/2011_realizing_bim_final.pdf
2. Edith Cherry and John Petronis, “Architectural Programming,” last updated
September 2, 2009, Whole Building Design Guide, http://www.wbdg.org/design/
dd_archprogramming.php(Last updated September 2, 2009.)
3. Stephen Roth, “About gbXML,” gbXML Open Green Building XML Schema,
http://www.gbxml,org/aboutdbxml,php
4. http://www.odeon.dk/su2odeon-plugin-trimble-sketchup
5. https://www.comsol.com/livelink-for-revit
6. http://sustainabilityworkshop.autodesk.com/buildings/autodesk-building-design-tools
Comments